728x170
경제적 자유를 위해 투자공부도 중요하지만, 개인의 급여나 능력을 상승시켜 경제적 자유를 위한 다른방법이 있습니다. 저는 투자공부 뿐만이 아니라, 인사관리 공부를 통해 공인노무사 취득을 위한 기반을 다져 한 단계 발전된 자아를 위해 공부 중입니다.
직급체계의 변화 및 원인
(1) 승진자리 부족에 따른 직책, 직급 분리 운영
- 직책승진 기회를 얻지 못하는 다수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직무수행능력에 따라 승격(직급만 승진)
(2) 직급에 대한 가치관 변화에 따라 직급파괴 확산
(3) 직위가 축소되고, 승진=급여 상승 이란 의미가 약화 됨
(4) 직급, 직책, 호칭을 분리하는 3원 자격제도 도입
(5) 직급이 폐지되거나 축소되고 새로운 호칭이 등장함
승진관리의 기본원칙
(1) 적정성의 원칙: 일정한 정도의 공헌을 했을 떄 어느정도 승진 or 보상을 받아야 하는지 크기의 적절성과 승진기회의 적절성
(2) 공정성의 원칙: 승진자 선별과정에서 공정하게 이루어 졌는가
(3) 합리성의 원칙: 합리적인 승진 기준을 가지고 있는 지의 기준
승진의 유형
(1) 직책승진(역직승진): 직책 계층이 상향 이동하는 것
(2) 자격승진: 직책 상승은 하지 않고, 직급만 승진하는 것
(3) 대용승진: 직급 명칭이나 자격호칭등의 형식적인 승진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RM전문가 시험공부 - 12 (0) | 2024.01.07 |
---|---|
HRM전문가 시험공부 - 11 (0) | 2024.01.01 |
HRM전문가 시험공부 - 9 (0) | 2023.12.13 |
HRM전문가 시험공부 - 8 (0) | 2023.12.09 |
HRM전문가 시험공부 - 7 (2) | 2023.12.09 |